반응형
1.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규정 개요
보조배터리는 휴대폰, 태블릿 등 전자기기의 필수 액세서리로 자리 잡았지만, 리튬 배터리의 특성상 화재 위험이 존재합니다. 이에 따라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와 각국의 항공사들은 보조배터리의 기내 반입에 대한 엄격한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 100Wh 이하 : 기내 반입 가능, 항공사 승인 불필요
- 100Wh 초과 ~ 160Wh 이하 : 기내 반입 가능, 항공사 승인 필요
- 160Wh 초과 : 기내 반입 및 위탁 수하물 모두 금지
참고 : 1Wh(와트시) = 1V(볼트) × 1Ah(암페어시)
반응형
2. 대한항공의 최신 보조배터리 반입 정책
대한항공은 최근 보조배터리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보관 위치 : 보조배터리는 좌석 주머니에 보관해야 하며, 기내 선반(오버헤드 빈)에 보관이 금지됩니다. 이를 위해 좌석 주머니에 보조배터리 보관용 지퍼백을 비치하고 있습니다.
- 승객 안내 : 탑승 전과 비행 중에 보조배터리의 올바른 보관 방법에 대한 안내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최근 발생한 보조배터리 관련 화재 사고를 계기로 도입되었습니다.
3. 다른 항공사의 보조배터리 관련 규정
다른 국내 항공사들도 보조배터리 관리 강화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 아시아나항공 : 보조배터리를 기내 선반에 보관하지 않도록 승객들에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 에어부산 : 기내 수하물에 리튬이온 배터리 등 화재 위험 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기내 화재 위험 최소화 대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제주항공, 진에어 등 저비용 항공사(LCC) : 기내 선반 보관 금지에 대한 안내 방송을 추가하는 등 관리 강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4. 보조배터리 용량 계산 방법
보조배터리의 용량은 일반적으로 mAh(밀리암페어시)로 표시되며, 이를 Wh(와트시)로 변환하여 기내 반입 가능 여부를 판단합니다.
- 계산 공식 : Wh = (mAh × V) ÷ 1,000
- 예시 : 20,000mAh, 5V 보조배터리의 경우
- (20,000mAh × 5V) ÷ 1,000 = 100Wh
따라서, 이 보조배터리는 100Wh로 기내 반입이 가능합니다.
5. 기내 보조배터리 사용 시 주의사항
- 직접 휴대 : 보조배터리는 위탁 수하물로 보내지 말고, 반드시 기내에 직접 휴대해야 합니다.
- 단락 방지 : 배터리 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절연 테이프로 감싸거나 개별 포장하여 단락(합선)을 방지해야 합니다.
- 충전 금지 : 기내에서 보조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므로, 비행 전에 충분히 충전해 두시기 바랍니다.
6. 보조배터리 관련 최신 뉴스 및 사고 사례
최근 김해국제공항에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보조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사건을 계기로 국내 항공사들은 보조배터리 관리와 관련된 규정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적으로도 보조배터리로 인한 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각국의 항공 당국과 항공사들이 관련 규정을 강화하는 추세입니다.
결론적으로, 안전한 비행을 위해서는 각 항공사의 보조배터리 반입 및 사용 규정을 숙지하고 준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반응형
'여행 > 수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여행 비행기 반드시 알아야 할 보조배터리 항공 규정 기내 반입 및 보관 가이드 (1) | 2025.02.27 |
---|---|
백팩과 핸드백 동시 반입 가능할까? 항공사별 기내 수하물 규정 (2) | 2025.02.27 |
대한항공 해외여행 시 드론, 카메라, 렌즈, 삼각대, 충전기, 배터리, 기내/위탁 어떻게 가져가야 할까? (0) | 2025.02.26 |
해외여행 자카르타 발리 인도네시아 라면 얼마나 가져갈 수 있을까? 입국 및 출국시 김치, 고추장, 라면, 봉지라면, 컵라면 대한 규정 (2) | 2025.02.26 |
보조배터리 이제는 손에 들고 탑승해야 한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보조배터리 규정 강화 – 기내 화재 예방을 위한 새로운 조치 (3) | 2025.02.06 |